배울학 대 메뉴

전기기사

/취업성공/연봉상승/노후준비 기술이 기회다!

QUICK MENU

    • 재수강할인
    • 단체수강할인
    • 자격증 가이드
    • 무이자할부
    • 배울학에 바란다
    • 저작권 보호 캠페인
맨위로
  • 전기 기초수학
  • 전기 기초용어
  • 전기 공학용계산기
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합격수기

수험정보/합격수기 합격수기
글 정보
제  목 일반기계기사 21년 4회 최종합격수기
작성자 김*창 작성일자 2021.12.24

배울학 인터넷 강의를 통해 일반기계기사 21년 4회 합격 후 합격 수기 남깁니다.

 

1. 필기

 기계공학과 출신으로 기본 지식은 있었기에 필기를 1.6배속으로 하루에 4시간씩 들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강의 통틀어서 선생님들이 말씀 해주시는 것들을 모두 듣는 게 아니라 필요 핵심만 들어도 충분합니다. 100점이 목표가 아닌 시험 당일날 60점을 넘기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입니다.(저도 63점 정도로 간신히 합격했습니다.)

 재료 역학/ 열역학은 조금 자세히 공부드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해가 까다로우며 양도 가장 많은 부분으로 암기할 것도 많은 부분입니다. 시작하자마자 포기하지 마시고 뒤의 유체/재료/동역학 등은 생각보다 내용이 적고 이해보다 과년도를 풀면서 암기하는 방법으로 단기간 내에 끝낼 수 있으니 포기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공부하다보면 이것도 암기과목이란 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별도로 공식 노트 등을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공식만 정리해놓으면 실전 문제 풀이에 적용이 전혀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공식 정리할 때 문제를 풀면서 정리하시면서 문제의 뉘앙스(?)와 공식을 한  번에 머리에 각인 시키기 바랍니다.

 

2. 실기

 저는 3D 모델링은 인벤터 2D 모델링은 캐드를 사용했습니다.

해당 강의 신청할 때 3D 프로그램 때문에 고민하시는 분이 있을텐데 프로그램 기능만 숙지하고 있다면 다른 3D 프로그램을 활용하면서 해당 강의 들어도 무방합니다. 물론 교재가 제 예상보다 상세하게 나와있어 완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두려움 없ㅅ이 솔리드웍스로 해당 강의 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필답형의 경우도 필기와 같이 암기할 것들이 매우 많습니다. 요즘 단위는 모두 SI 단위를 사용하니 과감하게 다른 단위들은 버리셔서 공부 분량을 줄이는 것이 좋으며 필답형의 경우 공식을 이끌어내는 방법이나 공식에 대한 이해를 모두 버리시고 무조건 암기가 단기간 합격엔 좋다고 봅니다. 물론 이것도 공식만 외워두면 문제 풀 때 절대로 활용 못합니다. 문제들을 풀다보면 핵심 키워드 들이 있는데 공식 옆에 키워드들을 적어두어 문제를 보자마자 '아 이 공식 적용하면 되겠구나' 하고 대표공식 적고 답만 적어도 점수 나오니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100점 목표 아니고 60점 합격이 목표입니다. 이것도 어렵지만..)

 저는 작업형의 경우 인강을 가장 많이 돌려본 부분 입니다. 어떤 도면이 나와도 그릴 수 있으려면 핵심 포인트 등은 알아둬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전체를 3D부터 2D 까지 그리는 건 두 번정도면 충분합니다. 작업형인만큼 머리에 강렬히 기억에 남아 반복은 별로 중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중요 포인트들만 기억하고 널링 등 특이한 제도법, KS 규격 필요한 부품들 정리, 개별적으로 하나씩 다 그려보기. 주석 외우기. 열처리 부분 외우기 정도만 하시면 어떤 부품 나와도 다 그릴 수 있습니다. 또한 강의에서 알려주시는 제도법을 그대로 활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래야 작업형 때 시간 부족하다거나 잘못 그려서 다시 그린다거나 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자기만의 방법도 좋지만 그게 꼬이면 해결할 방법이 마땅치 않기 떄문입니다.

 저는 치수 재는 데에서 애를 먹었는데 이거 치수 대충 재도 됩니다. 1~2mm 정도는 점수에 영향 없고 맞아야하는 치수들(맞닿는 부분들)만 서로 맞으면 됩니다. 그리고 치수를 꼭 종이에 기입하면서 푸는 거 권장드립니다... 저도 시험장에서 안 적어놨다가 실수한 부분이랑 부품끼리 맞닿는 부분 치수가 달라서 여러번 재고 지웠다 그리고 해서 시간 넘길 뻔했습니다.

 그리고 프린터는 각 시험장마다 다르고 한데 꼭 화면 꽉채워서 뽑아 낼 수 있도록 하는 걸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레이어 지정 같은 것도 신경쓰시길 바랍니다... 다 그려놨는데 인쇄하면 안 나오는 선들이라던가 희미하게 나오는 선들 있는데 그거 다 레이어 설정이 이상해서 그런거니... 저는 인쇄 한 번도 안하고 시험장에 가긴 했지만 시험장 가기전에 인쇄 해보시는 거 추천드립니다.(인쇄 부분은 유튜브 이것저것 보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